혹시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분명 내 신용점수 좋다고 생각했는데, 대출 알아보니 생각보다 금리가 높네?" 또는 "친구랑 신용점수가 비슷한데, 왜 나는 신용카드 발급이 안 될까?"
바로 KCB와 NICE, 두 개의 신용평가 회사가 여러분의 신용을 다른 눈으로 보고 있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이 두 회사가 뭘 다르게 보는지, 그리고 내 신용점수를 똑똑하게 관리해서 대출 금리까지 낮추는 비법까지, 끝까지 읽어보시면 분명 큰 도움 되실 거예요!
내 신용점수, 대체 뭘 보고 매기는 걸까?
예전에는 '신용등급'이라고 해서 1등급부터 10등급까지 딱 나눠졌는데, 2021년부터는 점수로 바뀌었어요. 0점부터 1,000점까지 숫자가 높을수록 신용도가 좋다는 뜻이죠. 이 점수가 높아야 대출도 잘 되고, 이자도 싸지고, 카드 발급도 쉬워져요.
KCB랑 NICE, 왜 점수가 다를까?
우리나라에는 크게 두 군데 신용평가 회사가 있어요. 바로 KCB(코리아크레딧뷰로, 올크레딧)와 NICE(나이스평가정보)예요. 얘네 둘이 여러분의 신용을 평가하는데, 보는 관점이 조금 달라서 점수가 다르게 나올 수 있어요. 쉽게 말해, 똑같은 사람을 보고도 어떤 기준으로 보느냐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는 거죠.
내 점수, 옛날 등급으로 따지면 어느 정도일까? (참고용)
신용등급 | KCB (올크레딧) | NICE |
---|---|---|
1등급 | 942~1,000점 | 900~1,000점 |
2등급 | 891~941점 | 870~899점 |
3등급 | 832~890점 | 840~869점 |
4등급 | 768~831점 | 805~839점 |
5등급 | 698~767점 | 750~804점 |
6등급 | 620~697점 | 665~749점 |
7등급 | 530~629점 | 600~664점 |
8등급 | 454~529점 | 515~599점 |
9등급 | 335~453점 | 445~514점 |
10등급 | 0~334점 | 0~444점 |
보통 1금융권에서 대출받으려면 1등급에서 6등급 정도는 돼야 한다고 알려져 있어요. 서민금융지원 대상자(연봉 4천만 원 미만)는 7등급까지도 가능하고요.
KCB와 NICE, 각자 뭘 중요하게 볼까?
두 신용평가사 모두 여러분의 신용을 평가할 때 다음 네 가지 큰 틀을 봐요.
- 상환 이력: 빚을 제때 잘 갚았는지, 혹시 연체한 적은 없는지. 이게 가장 기본이죠.
- 부채 수준: 지금 대출이 얼마나 있고, 내 소득에 비해 감당할 만한 수준인지.
- 신용 거래 기간: 신용카드나 대출을 얼마나 오래 꾸준히 써왔는지.
- 신용 거래 형태: 어떤 종류의 대출(은행, 저축은행, 대부업 등)을 썼고, 카드 사용 패턴(일시불 위주, 할부/현금서비스 위주 등)이 어떤지.
여기에 비금융 정보(통신요금, 공과금 성실 납부 등)를 추가로 반영하기도 해요.
KCB는 이걸 더 중요하게 봐요!
KCB는 '신용 거래 형태'를 가장 중요하게 봅니다. 일반 고객의 경우 무려 38%나 돼요! 이건 무슨 뜻이냐면요, 내가 어떤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았는지, 신용카드를 어떻게 쓰고 있는지가 점수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거예요.
- 핵심: 은행 같은 1금융권 대출을 주로 쓰고, 고금리 대출(사채, 대부업 등)을 피하는 게 좋아요. 신용카드도 할부나 현금서비스보다는 일시불 위주로 쓰는 게 유리하죠.
- 장기 연체 경험 고객이라면? KCB는 '상환 이력'을 가장 중요하게 봐요. 예전에 연체한 적이 있다면, 앞으로 연체 없이 꼬박꼬박 잘 갚는 모습을 보여주는 게 최우선이에요.
NICE는 이걸 더 중요하게 봐요!
NICE는 '상환 이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31%). 그리고 '부채 수준'도 꽤 비중 있게 보죠.
- 핵심: 연체는 무조건 피해야 해요! 단 며칠, 몇 만 원이라도 연체 기록이 생기면 NICE 점수에 바로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그리고 지금 가지고 있는 대출금이 너무 많으면 점수가 낮아질 수 있으니, 감당 가능한 범위 내에서 부채를 관리하는 게 중요해요.
- 장기 연체 경험 고객이라면? 역시 상환 이력이 제일 중요하지만, 신용 거래 기간도 NICE는 꽤 중요하게 봐요. 꾸준히 금융 거래를 해오면서 좋은 이력을 쌓는 게 중요해요.
결론적으로, 뭐가 더 중요할까?
사실 둘 다 중요해요! 하지만 요즘 대부분의 은행이 KCB 점수를 더 많이 참고하는 경향이 있어요. 아래 표를 보시면 더 쉽게 이해가 되실 거예요.
우리 은행들은 뭘 보고 있을까? (주로 참고하는 곳)
은행 | 주요 참고 기관 |
---|---|
신한은행 | NICE |
국민은행 | KCB |
카카오뱅크 | KCB |
우리은행 | KCB |
케이뱅크 | KCB |
기업은행 | NICE, KCB |
농협 | NICE, KCB |
토스 | NICE, KCB |
부산은행 | NICE, KCB |
신한은행 빼고는 다들 KCB를 보거나 둘 다 같이 보죠? 그래서 KCB 점수를 잘 관리하는 게 여러모로 유리할 수 있다는 점, 기억해두세요!
내 신용점수 올리는 확실한 방법!
1. 절대 연체하지 마세요! (최고 중요)
은행이든 카드사든 돈 빌려줄 때 가장 먼저 보는 게 "이 사람이 돈을 제때 갚을까?"예요. 단 며칠, 몇 만 원이라도 연체 기록이 생기면 신용점수는 물론, 금융 생활 전반에 큰 타격을 입어요. 특히 90일 이상 고액 연체는 미납금을 다 갚아도 최장 5년까지 기록이 남으니, 항상 납기일을 꼼꼼히 확인해서 연체는 무조건 피해야 합니다.
2. 신용카드는 적정하게, 꾸준히 쓰세요!
신용카드는 잘 쓰면 약, 못 쓰면 독이에요. 카드 한도의 30~50% 정도만 꾸준히 사용하고 제때 갚는다면 신용점수가 올라요. 너무 많이 쓰면 "이 사람 현금 없나?" 하고 안 좋게 볼 수도 있거든요. 신용카드 쓰기 부담스럽다면, 체크카드도 좋아요! 6개월 이상 월 30만 원 이상 꾸준히 쓰면 신용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답니다.
3. 내게 맞는 신용점수 올리기 전략! (KCB vs NICE)
- KCB 점수를 올리고 싶다면?
빚을 너무 많이 늘리지 않는 게 좋아요. 특히 2금융권이나 3금융권, 대부업 대출은 최대한 피하고, 필요하다면 1금융권 대출을 이용하세요. 카드 할부나 현금 서비스도 되도록 자제하는 게 좋습니다. - NICE 점수를 올리고 싶다면?
가장 중요한 건 역시 '연체 없는 상환'이에요. 모든 대출이나 카드 대금을 단 하루라도 연체하지 않고 잘 갚는 게 중요해요. 그리고 신용카드나 대출 같은 신용 거래를 오래 꾸준히 이어가는 것도 NICE 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마무리하며
오늘은 KCB와 NICE 신용점수의 차이점, 그리고 각각의 점수를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자세히 알려드렸어요. 은행마다 참고하는 점수가 다르지만, 두 가지 점수 모두 잘 관리해 두는 게 중요해요. 연체는 신용점수의 가장 큰 적이라는 점 꼭 기억하시고,
꾸준하고 성실한 금융 생활을 통해 탄탄한 신용점수를 만들어 가시길 바랍니다!